중이염(Otitis Media):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
중이염(Otitis Media)는 귀의 중이(고막 뒤 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나뉩니다.
주로 감염(세균 또는 바이러스)으로 인해 발생하며, 어린이에게 흔하지만 성인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중이염의 정의와 분류
1) 급성 중이염(Acute Otitis Media)
정의:
중이에 급성으로 염증과 감염이 발생한 상태.
특징:
고막이 부풀거나 고름이 찬 상태.
증상이 며칠에서 2주 이내 지속.
2) 삼출성 중이염(Otitis Media with Effusion)
정의:
감염 없이 중이에 액체가 차 있는 상태.
특징:
통증 없이 귀가 먹먹하거나 청력 감소.
3) 만성 중이염(Chronic Otitis Media)
정의:
중이염이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재발.
특징:
만성 고막 천공 또는 지속적인 고름 배출.
2. 중이염의 원인
감염:
바이러스(감기, 독감 등) 또는 세균 감염.
주요 세균: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이관 기능 장애(Eustachian Tube Dysfunction): 중이와 인후를 연결하는 이관의 기능이 저하되어 공기가 통하지 않고 액체가 고임.
호흡기 감염:
감기, 부비동염 등에서 중이로 감염 확산.
면역력 저하:
어린이, 노인, 만성질환 환자는 감염에 취약.
기타 요인:
알레르기, 수유 자세(아기를 눕힌 상태에서 수유), 흡연 노출, 기저질환.
3. 중이염의 주요 증상
1) 급성 중이염
귀 통증(압박감 또는 욱신거리는 통증).
발열(특히 어린이에게 흔함).
청력 감소.
귀에서 고름 또는 액체 배출(고막이 터진 경우).
귀 압박감 또는 먹먹함.
2) 삼출성 중이염
통증 없이 귀가 먹먹하거나 청력 저하.
귀에 물이 찬 듯한 느낌.
3) 만성 중이염
지속적인 고름 배출(악취를 동반).
만성적인 청력 손실.
간헐적인 귀 통증.
4. 중이염의 진단
병력 청취:
최근 감기, 부비동염, 알레르기 등 호흡기 감염 병력 확인.
이비인후과 검진:
이경(Otoscope): 고막의 발적, 부종, 액체 확인.
고막의 움직임 테스트(Tympanometry):
중이에 액체가 있는지 평가.
청력 검사:
청력 감소 정도를 확인.
분비물 검사:
고름이나 액체를 채취하여 감염 원인 확인(특히 만성 중이염).
5. 중이염의 치료 방법
1) 급성 중이염 치료
약물 치료:
항생제: 세균 감염이 확인된 경우 사용.
예: 아목시실린(Amoxicillin).
진통제: 통증 완화를 위해 이부프로펜 또는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비충혈제거제 및 항히스타민제: 코막힘 완화로 이관 기능 개선.
대기 요법:
성인의 경우, 경미한 증상은 48~72시간 관찰 후 호전 여부 평가.
2) 삼출성 중이염 치료
대기 요법:
액체가 자연 배출되도록 관찰.
이관 삽입술(Tympanostomy Tube): 중이에 작은 튜브를 삽입해 액체 배출.
3) 만성 중이염 치료
항생제 점이액 및 경구 항생제: 감염 치료 및 고름 배출 감소.
고막 성형술(Tympanoplasty): 천공된 고막 복구.
중이 수술(Mastoidectomy): 중이와 마스토이드에 감염된 조직 제거.
6. 중이염 합병증
청력 손실:
중이 손상으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 청력 감소.
고막 천공:
감염이나 압력으로 고막이 터지는 상태.
내이염(Labyrinthitis):
중이염이 내이로 확산되어 현기증, 이명, 심각한 청력 손실 유발.
마스토이드염(Mastoiditis):
감염이 귀 뒤쪽 마스토이드 뼈로 확산.
수막염:
감염이 뇌막으로 퍼질 위험.
7. 중이염 예방 방법
감기 및 호흡기 감염 예방:
손 씻기와 개인위생 철저히 준수.
독감 및 폐렴 예방접종 시행.
수유 자세 조정:
아기를 세운 자세로 수유.
알레르기 관리:
알레르기 비염 및 코막힘 예방.
금연:
간접 흡연 노출을 최소화.
귀의 습기 제거:
수영 후 귀를 말려 중이 감염 예방.
8.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중이염은 자연적으로 나을 수 있나요?
경미한 급성 중이염은 항생제 없이도 나을 수 있으나, 증상이 심하거나 48시간 이상 지속되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Q2. 중이염은 전염되나요?
중이염 자체는 전염되지 않지만, 감기와 같은 원인 바이러스나 세균은 전염될 수 있습니다.
Q3. 중이염이 반복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이관 튜브 삽입이나 고막 성형술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Q4. 어린이 중이염은 왜 흔한가요?
어린이의 이관은 성인보다 짧고 수평적이어서 감염과 액체 고임이 쉽게 발생합니다.
9. 결론
중이염(Otitis Media)은 비교적 흔하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급성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 치료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중이염은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장기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예방 습관을 유지하여 귀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귀와 관련된 주요 질환
귀와 관련된 주요 질환귀는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각과 평형 감각을 담당합니다.이와 관련된 질환은 감염, 손상, 또는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아래는 귀의
namo38.com
'의학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관 기능 장애(Eustachian Tube Dysfunction): 원인, 증상, 치료 및 관리 방법 (0) | 2025.01.04 |
---|---|
고막 천공(Eardrum Perforation):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1.04 |
외이 외상(External Ear Trauma):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 (0) | 2025.01.03 |
귀지 막힘(Earwax Impaction):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0) | 2025.01.03 |
외이도염(Swimmer's Ear): 정의, 원인, 증상, 치료 (0) | 2025.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