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의학에 대해서1918

이비인후과 - 편도 결석 편도 결석이란 편도결석은 편도에 형성된 작은 하얀색 또는 노란색의 고름덩어리를 의미합니다. 편도는 목의 양쪽에 위치한 림프조직으로, 입과 코에서 들어오는 바이러스와 세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편도 결석은 구역질이나 기침을 심하게 할 때 노란 알갱이가 입안에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편도와 편도 내에서 상피조직의 파편이 축적되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만성 편도염 환자들은 편도에 있는 편도와 라는 작은 구멍이 커지면서 이곳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고 세균이 번식하면서 뭉쳐서 작은 알갱이를 형성하게 됩니다. 비염이나 부비동염으로 후비루가 있는 사람에게도 잘 생깁니다. 그러나 때로는 이 편도 조직 내에 음식 조각, 먼지, 세균, 죽은 세포 등의 물질들이 덩어리를 이루며 고정되기도 합니다. .. 2023. 4. 2.
이비인후과 수술 - 타석증 타석증이란 침의 정체, 침샘관의 염증, 손상 등의 원인으로 침샘관과 타액선관에 석회물질, 이물질, 세균 등이 뭉쳐서 침의 통로를 막아서 발생합니다. 턱밑 침샘인 악하선이 가장 잘 발생하고 아랫니가 아픈 증상이 생기면서 타석이 일정크기보다 커지면 부종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진료를 통해 시진과 촉진으로 진단하기도 하지만 CT를 통해 뼈처럼 하얀 타석이 발견되면서 진단하게 됩니다. 타석증의 치료 타석의 크기가 작은 경우는 증상이 반복되다가 저절로 타석이 밀려 나와서 낫기도 하고 염증이 생긴 경우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나아지지 않으면 수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혀와 잇몸 사이에서 잘 만져지는 타석은 수술부위에 국소 마취 후 입안내에서 절개하여 제거합니다. 타석이 침샘관 시작점이나 침샘 내부에 있으면 전신 마취를 .. 2023. 4. 1.
이비인후과 수술 -성대결절 성대결절 증상 목을 자주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자주 생기는 질환으로 성대 양성 점막 질환입니다.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으며 쉰 목소리, 거친 호흡, 목의 통증, 말할때 목아픔, 고음이 잘 나오지 않음, 비정상적인 음정, 비간공명, 말의 높낮이가 분명하지 않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을 방치할 경우 영구적으로 손상에 의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진료를 통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후두 내시경시나 굴곡형 내시경을 활용해 성대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과 진단을 통해 보전적 치료 또는 수술치료를 합니다. 목을 충분히 쉬어 주고 점막을 촉촉하게 보호하면서 약물치료, 식습관 개선, 금연, 금주 등이 필수입니다. 성대 결절 수술 비교적 간단한 수술이지만 전신마취하에 기구 삽입을 통해 또는 레이저를 사용해 성대에 발생한 작.. 2023. 3. 31.
이비인후과 수술 (귀) -고막천공 고막천공 고막은 외의와 중이를 나누는 막으로 중이를 바깥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소리를 증폭시켜 잘 들을수 있도록 합니다. 고막이 천공되면 중이를 보호하기 힘들고 청력이 저하됩니다. 고막천공 증상으로는 청력 감소, 귀의 먹먹함, 이명 등이 있습니다. 고막이 천공되면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복용하고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인공 고막 수술 외상성 고막 천공 발생후 3개월이 되도 고막이 아물지 않거나 만성 염증에 의한 고막 천공의 경우는 수술치료를 해야 합니다. 청력 감소는 심하지 않으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균이나 오염에 취약하므로 수술로 치료합니다. 고막 성형술을 통해 인공 고막을 수술로 만들어 주는데 인공 고막은 환자의 귀에 만져지는 연골막이나 측두근육의 근막을 사용하고 그외에도 피.. 2023. 3. 3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