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굴절 검사 (Refraction Test)란?

by operation room 2025. 2. 12.
반응형

굴절 검사 (Refraction Test)란?

굴절 검사 (Refraction Test)란?
굴절 검사 (Refraction Test)란?

1. 굴절 검사란?

굴절 검사는 눈이 빛을 어떻게 굴절시키는지 측정하여 근시, 원시, 난시 여부를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이를 통해 시력 저하 원인을 분석하고,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처방을 위한 정확한 도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2. 굴절 검사의 목적

✔ 근시(근거리 시력은 좋지만 먼 거리가 흐림) 확인

✔ 원시(먼 거리는 잘 보이지만 근거리는 흐림) 확인

✔ 난시(불규칙한 초점으로 인해 흐릿한 시야) 진단

✔ 안경 및 콘택트렌즈 처방을 위한 도수 측정

✔ 라식, 라섹 같은 시력교정술 전 정밀 굴절 이상 평가

3. 굴절 검사 방법

① 자동굴절검사 (Autorefractor Test, 자동검안기 검사)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빛을 눈에 투과시켜 망막에서 반사되는 패턴을 분석

비접촉식 검사로 빠르고 간편하게 진행 가능

기본적인 굴절 이상(근시, 원시, 난시)을 측정하는 데 유용

 

② 검안사가 진행하는 세부 굴절 검사 (주관적 굴절 검사, Subjective Refraction)

다양한 렌즈를 교체하며 환자의 응답에 따라 최적의 도수를 결정 자동굴절검사보다 정확한 시력 보정을 위한 추가적인 과정 환자의 편안한 시야와 양안 균형을 고려하여 최적의 렌즈 선택

 

③ 검영법 (Retinoscopy, 객관적 굴절 검사)

빛을 눈에 비추고 망막 반사광을 관찰하여 굴절 이상을 측정

주로 어린이, 비협조적인 환자 또는 자동검사기 측정이 어려운 경우 사용

4. 검사 후 결과 해석

✔ (-) 마이너스 값: 근시 (예: -2.50D → 근시 2.5 디옵터)

✔ (+) 플러스 값: 원시 (예: +1.75D → 원시 1.75 디옵터)

✔ 난시: CYL(원주) 값이 포함되며, 축(Axis) 값도 함께 기재됨

(예: -1.00 x 180° → 1디옵터 난시가 180도 방향으로 있음)

 

📌 예시: -3.00 -1.25 x 90°

→ 근시 -3.00D + 난시 -1.25D가 90도 방향으로 존재

5. 굴절 검사 후 주의사항

산동제를 사용한 검사(소아 검사 등) 시 3~4시간 동안 흐린 시야가 지속될 수 있음

검사 전 1~2일간 콘택트렌즈 착용을 중단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추천됨

정확한 교정 렌즈 처방을 위해 검안사 또는 안과 전문의의 상담이 중요

6. 굴절 검사와 정기 안과 검진의 중요성

🔹 근시·원시·난시는 진행될 수 있으므로, 6개월~1년에 한 번 정기적인 시력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장시간 스마트폰·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도, 조절 장애 등이 있을 경우 굴절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시력 변화가 자주 발생하는 소아 및 청소년, 노년층은 특히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정확한 굴절 검사와 맞춤 시력 교정을 통해 눈 건강을 유지하세요!

 

 

 

 

시력검사 (Vision Test) – 종류, 방법 및 결과 해석

시력검사 (Vision Test) – 종류, 방법 및 결과 해석시력검사는 눈 건강을 평가하고 시각적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필수적인 검사입니다.특히, 근시(근거리 시력 저하), 원시(원거리 시력 저하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