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자동 굴절검사 (Auto Refractor Test) – 근시, 원시, 난시 검사의 기본

by operation room 2025. 2. 12.
반응형

자동 굴절검사 (Auto Refractor Test) – 근시, 원시, 난시 검사의 기본

자동 굴절검사 (Auto Refractor Test) – 근시, 원시, 난시 검사의 기본
자동 굴절검사 (Auto Refractor Test) – 근시, 원시, 난시 검사의 기본

자동 굴절검사(Auto Refractor Test, AR Test)는 눈의 굴절 이상(근시, 원시, 난시)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처방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안과 및 안경원에서 빠르고 쉽게 시행할 수 있는 비침습적 검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 굴절검사의 원리, 검사 방법, 결과 해석, 근시/원시/난시 수치 읽는 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자동 굴절검사란?

🔹 눈에 빛을 조사하여 각막과 수정체의 굴절 상태를 측정

🔹 근시, 원시, 난시 여부 및 도수(Prescription) 측정 가능

🔹 비접촉식 검사로 빠르고 간편하게 시행 (3~5초 내 측정 가능)

✅ 자동 굴절검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시행됩니다:

✔ 안경, 콘택트렌즈 처방 전 시력 검사

✔ 근시, 원시, 난시 정도 확인

✔ 백내장, 녹내장 등의 안과 질환 환자의 시력 변화 측정

✔ 어린이 및 노인의 시력 검사 (객관적인 측정 가능)

💡 정확한 안경 도수를 맞추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검사!

🔬 2. 자동 굴절검사의 원리

1️⃣ 검사 장치가 눈에 적외선 빛을 발사

2️⃣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하면서 굴절된 빛을 분석

3️⃣ 눈의 굴절 상태(근시, 원시, 난시)와 도수를 계산하여 결과 출력

💡 눈의 초점이 망막 앞에 있으면 근시, 뒤에 있으면 원시로 진단

🧐 3. 자동 굴절검사 방법

✅ 검사 과정

✔ 기기 앞에 앉아 턱을 고정하고 이마를 기기에 밀착

✔ 기계 속 풍경(산, 집 등)을 바라보면서 초점을 맞춤

✔ 기계가 자동으로 굴절률을 측정 (3~5초 내 완료)

✔ 양쪽 눈을 각각 검사한 후 결과 출력

💡 별다른 준비 없이 누구나 쉽게 받을 수 있는 검사

📊 4. 자동 굴절검사 결과 해석 (도수 읽는 법)

결과 용어 설명 (SPH, CYL, AXIS)

자동 굴절검사 결과 해석 (도수 읽는 법)
자동 굴절검사 결과 해석 (도수 읽는 법)

📌 도수 예시 (자동 굴절검사 결과표 예제)

도수 예시 (자동 굴절검사 결과표 예제)
도수 예시 (자동 굴절검사 결과표 예제)

💡 해석 방법:

오른쪽 눈(OD): 근시 -3.50D, 난시 -1.00D (축 180°) → 난시 포함된 근시

왼쪽 눈(OS): 근시 -2.75D, 난시 -1.25D (축 160°) → 난시 포함된 근시

🔍 5. 검사 결과에 따른 굴절 이상 진단

🔹 근시 (Myopia, SPH -)

✔ SPH 값이 (-)이면 근시

✔ 값이 클수록 심한 근시 (-6.00D 이상이면 고도근시)

✔ 망막 앞에서 초점이 맺혀 먼 곳이 잘 안 보임

🔹 원시 (Hyperopia, SPH +)

✔ SPH 값이 (+)이면 원시

✔ 값이 클수록 심한 원시

✔ 망막 뒤에서 초점이 맺혀 가까운 곳이 잘 안 보임

🔹 난시 (Astigmatism, CYL - 또는 +, AXIS 0~180°)

✔ CYL 값이 존재하면 난시 있음

✔ 난시축(AXIS)이 0~180도 사이에서 표시됨

✔ 난시가 심하면 빛이 번져 보이고 초점이 여러 개 생김

📢 6. 자동 굴절검사 vs. 일반 시력검사 (Snellen Chart Test) 차이점

자동 굴절검사 vs. 일반 시력검사 (Snellen Chart Test) 차이점
자동 굴절검사 vs. 일반 시력검사 (Snellen Chart Test) 차이점

💡 자동 굴절검사는 안경 처방이나 정확한 시력 측정을 위해 반드시 필요!

🚨 7. 검사 후 추가 검진이 필요한 경우

✅ 자동 굴절검사 결과와 실제 시력이 다를 경우

✅ 도수 변화가 갑자기 심해진 경우 (1년 내 1D 이상 변화)

✅ 한쪽 눈만 시력 저하가 있는 경우

✅ 근시가 심한 경우 (-6.00D 이상) → 망막박리 검사 필요

✅ 고혈압, 당뇨 등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 망막 검사 필수

💡 정확한 처방을 위해 자동 굴절검사 후, 의사의 추가 검사(조절마비굴절검사, 망막검사 등)가 필요할 수도 있음 👀

8. 시력 보호 & 근시 예방 관리법

✅ 정기적인 시력검사 (성인 1~2년마다, 어린이 매년 권장)

✅ 스마트폰 & 모니터 사용 줄이기 (20-20-20 법칙: 20분마다 20초간 먼 곳 보기)

✅ 눈에 좋은 음식 섭취 (비타민 A, 루테인, 오메가3 포함된 식품)

✅ 충분한 실외 활동 (햇빛 노출이 근시 진행 속도를 늦춤)

✅ 자외선 차단 선글라스 착용 (강한 빛으로부터 보호)

💡 눈 건강을 위해 스마트폰 사용 줄이고 정기적인 검사 받기!

🔍 결론 – 자동 굴절검사는 정확한 시력 측정을 위한 필수 검사!

✅ 근시, 원시, 난시 정도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

✅ 비접촉식 검사로 간편하고 빠르게 진행 가능 (5~10초 내 완료)

✅ 안경 처방, 시력 변화 확인, 안과 질환 진단에 필수적

✅ 정확한 결과를 위해 정기적으로 검사받고 눈 건강 관리 필요

💡 눈 건강은 평소 관리가 중요! 시력 변화가 있다면 반드시 정기 검진을 받으세요!

 

 

 

 

시력검사 (Vision Test) – 종류, 방법 및 결과 해석

시력검사 (Vision Test) – 종류, 방법 및 결과 해석시력검사는 눈 건강을 평가하고 시각적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필수적인 검사입니다.특히, 근시(근거리 시력 저하), 원시(원거리 시력 저하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