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바이러스성 결막염(유행성 결막염) 완벽 가이드: 전염성과 치료법 총정리

by operation room 2025. 7. 18.
반응형

바이러스성 결막염(유행성 결막염) 완벽 가이드: 전염성과 치료법 총정리

바이러스성 결막염(유행성 결막염) 완벽 가이드: 전염성과 치료법 총정리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나고, 끈적한 눈곱까지…"

게다가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도 같은 증상을 겪고 있다면?

이럴 경우 가장 의심되는 것이 바이러스성 결막염, 특히 유행성 결막염입니다.

전염성이 강하고 증상이 오래 지속되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바이러스성 결막염이란?

결막염이란 눈의 결막(흰자 위를 덮는 얇은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결막염을 바이러스성 결막염이라 부릅니다.

그중에서도 전염성이 가장 강하고 집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형태가바로 유행성 결막염(아데노바이러스 감염)입니다.

📌 대표적인 바이러스성 결막염 종류

유행성 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 8형·19형 등

전염성 매우 강함, 충혈·눈물·눈곱 많음, 눈꺼풀 부종

 

급성 출혈성 결막염

엔테로바이러스 70형 등

결막 출혈, 눈 충혈 심함, 잠복기 짧고 빠르게 전염

 

아데노바이러스 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 전반 - 눈물샘, 인두, 결막 동시에 침범 (‘풀꽃 눈병’이라고도 불림)

🦠 전염성은 어느 정도인가요?

전염 경로: 손·수건·베개·화장품 등 직접 접촉에 의한 감염

잠복기: 평균 5~7일 (길게는 2주)

전염력 지속 기간: 증상 발생 후 10~14일 정도까지 강함

공동생활, 학교, 사무실 등에서 집단감염 위험 매우 높음

😷 주요 증상

눈의 심한 충혈

눈물 많고 이물감, 간지러움

노란 눈곱, 끈적한 분비물

눈꺼풀 부종, 무겁고 처진 느낌

빛에 민감해짐(광선 과민증)

눈 시림, 통증

한쪽 눈에서 시작 → 다른 쪽 눈으로 전염

💡 심한 경우 각막염이나 시력 저하, 림프절 부종까지 동반되기도 함

🧪 진단 방법

육안 검사 + 병력 청취

필요 시 결막 배양 검사

림프절 촉진 검사 (앞귀 쪽 림프절 비대 여부 확인)

💊 치료 방법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제가 없습니다.

대부분은 자가 면역 회복으로 자연 치유되며,

증상을 완화하고 2차 감염을 방지하는 보조 치료가 핵심입니다.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

항염증제 : 안약 통증, 충혈, 눈부심 완화

항생제 안약:  2차 세균 감염 예방용

인공눈물 : 이물감·건조감 완화

냉찜질:  붓기, 통증 감소

스테로이드 안약:  중증일 경우 각막염 예방 (단기 처방, 의사 지시에 따름)

회복 기간

평균 1~2주

각막에 염증이 남으면 시력 회복까지 수주~수개월 소요될 수 있음

🚫 생활 속 주의사항 (전염 예방)

손을 자주 씻고 눈에 손 대지 않기

수건, 베개, 화장품 등 개인용품 절대 공유 금지

렌즈 사용 중단, 안경 착용

눈곱은 생리식염수로 부드럽게 닦기

눈화장 중단, 도구 및 제품 폐기

학교, 학원, 직장 등은 증상 회복 전 출석 자제 (1~2주 이상)

실내 자외선 차단 및 청결 유지

✅ 자주 묻는 질문 (FAQ)

Q.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치료제가 없나요?

➡ 현재까지는 명확한 항바이러스 점안제가 없어

대증 요법 + 면역 회복을 기다리는 방식입니다.

Q. 얼마나 전염성이 강한가요?

➡ 수건 1회 공유만으로도 전염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합니다.

가족 간, 학급 내, 군부대 등에서 집단 발생하기 쉬우니 개인 위생이 가장 중요합니다.

Q. 증상 없어졌다고 출근/등교해도 되나요?

➡ 증상이 사라져도 전염력은 7~10일간 지속되므로,

의사의 소견서나 진단 후 최소 7일 이상 자가 격리 권장됩니다.

Q. 스테로이드 안약 써도 괜찮은가요?

➡ 각막염 예방이나 통증 조절에 도움이 되지만, 장기 사용 시 부작용(안압 상승) 가능성이 있어의사의 처방하에 단기간 사용해야 합니다.

마무리: 바이러스성 결막염, ‘눈감고 지나가기’엔 너무 위험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단순히 충혈과 눈곱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시력 저하, 각막염, 2차 세균 감염, 그리고 주변 전염까지 유발할 수 있는감염력 강한 질환입니다.

🔹 초기에는 빠른 진단과 격리

🔹 증상 기간에는 철저한 위생

🔹 회복기에는 자외선 차단과 보습 관리

이 세 가지만 잘 지켜도

눈 건강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전염성 눈병, 절대 가볍게 넘기지 마세요!

 

 

 

결막염 치료 방법 총정리: 증상별 치료제부터 생활 속 관리법까지

결막염 치료 방법 총정리: 증상별 치료제부터 생활 속 관리법까지 결막염은 눈의 흰자(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눈이 충혈되고 눈곱이 많아지며 가려움증이나 이물감까지 느끼는 대표적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