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소아마비(Poliomyeliti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by operation room 2024. 12. 29.
반응형

소아마비(Poliomyeliti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소아마비(Poliomyeliti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소아마비(Poliomyeliti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소아마비(Poliomyelitis)는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감염병으로, 주로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바이러스가 신경계를 공격하면 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드물게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예방 접종을 통해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유행하고 있습니다.

1. 소아마비의 원인

1) 원인 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피코르나바이러스 계열의 RNA 바이러스.

세 가지 유형(1형, 2형, 3형)이 있으며, 2형과 3형은 근절된 상태.

 

2) 전파 경로

분변-구강 경로:

오염된 음식, 물을 섭취하거나 비위생적인 손을 통해 감염.

 

호흡기 비말:

드물게 기침, 재채기를 통해 전파.

2. 주요 증상

1) 무증상 감염 (90~95%) 감염자의 대부분은 증상이 없으며,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음.

 

2) 경증 증상 (5~10%)

발열, 두통, 인후통, 피로감.

근육통, 메스꺼움.

 

3) 비마비성 소아마비 (1~2%)

척수 주변의 염증으로 인해 목과 등, 팔다리의 근육 경직과 통증 발생.

 

4) 마비성 소아마비 (0.5% 미만)

바이러스가 척수와 중추신경계를 침범.

증상:

근육 약화 및 이완성 마비(다리에서 흔히 발생).

비대칭적 마비(한쪽 팔다리에만 증상).

심한 경우 호흡근 마비로 호흡 곤란 발생.

 

5) 후유증 (소아마비 후유증 증후군)

소아마비에서 회복된 환자 중 일부는 10~40년 후 소아마비 후유증 증후군(Post-Polio Syndrome, PPS)이 발생.

증상:

근육 약화, 관절 통증, 피로감.

3. 진단 방법

병력 확인 및 신체검사

발열, 근육 약화, 마비 증상.

 

실험실 검사

바이러스 배양: 대변, 인후 샘플에서 바이러스 확인.

RT-PCR 검사: 폴리오바이러스 유전자 확인.

 

뇌척수액 검사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증상을 보일 경우, 뇌척수액에서 염증 반응 확인.

 

영상 검사

마비가 발생한 경우 MRI를 통해 신경 손상 평가.

4. 치료 방법

소아마비는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대증 요법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관리합니다.

1) 대증 치료

진통제 및 항염증제: 근육 통증 및 경직 완화.

수분 공급: 탈수 방지.

물리치료:

근육 강화를 위해 재활 치료.

마비를 줄이고 관절의 유연성을 유지.

 

2) 중증 합병증 관리

호흡 보조:

호흡근 마비 시 인공호흡기 사용.

심한 근육 약화:

보조기구(목발, 휠체어) 제공.

5. 예방 방법

1) 예방 접종

폴리오 백신(IPV, OPV):

1950년대 이후 백신 도입으로 소아마비 발병률 급격히 감소.

IPV(불활성화 백신): 주사형, 전 세계적으로 사용.

OPV(경구 생백신): 경구 투여, 일부 지역에서 사용.

 

2) 개인 위생

손 씻기:

비누와 물로 20초 이상 손 씻기.

음식 및 물 관리:

오염된 음식과 물 섭취 금지.

 

3) 집단 면역 형성

전 인구의 예방 접종을 통해 폴리오바이러스 확산 차단.

6. 세계 소아마비 현황

근절 목표

세계보건기구(WHO)는 1988년부터 폴리오 근절 이니셔티브(GPEI)를 통해 폴리오 근절을 목표로 함.

발병 지역

대부분의 국가는 폴리오를 근절했으나, 일부 지역(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등)에서는 여전히 발생.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소아마비는 성인에게도 발생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특히 예방 접종을 받지 않은 성인이나 면역력이 약화된 경우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Q2. 소아마비와 유사한 질환은 무엇인가요?

길랑-바레 증후군(GBS),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등이 비슷한 마비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Q3. 소아마비 예방 접종은 얼마나 효과적인가요?

예방 접종은 99% 이상 효과적이며, 소아마비를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Q4. 소아마비 회복 후 다시 마비가 올 수 있나요?

소아마비 후유증 증후군(PPS)으로 인해 수십 년 후에 근육 약화나 피로감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Q5. 소아마비는 완치가 가능한가요?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는 치료법은 없지만, 적절한 재활 치료와 관리로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8. 결론

소아마비는 예방 가능한 질병이며, 예방 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방어책입니다.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예방 접종을 통해 개인뿐 아니라 지역 사회의 집단 면역을 형성하는 것이 소아마비 근절에 기여합니다.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는 소화기 계통에서 증식하고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군입니다.이 바이러스는 감염력이 강하고 여러 유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