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발발진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 HFMD):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손발발진병은 주로 소아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손, 발, 입에 발진과 궤양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미하게 진행되지만 드물게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원인
1) 주요 원인 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콕사키바이러스 A16이 가장 흔한 원인.
드물게 엔테로바이러스 71(EV71)이 중증 질환을 유발.
2) 전파 경로
분변-구강 경로:
오염된 손이나 물건을 통해 감염.
호흡기 비말: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접촉 전파:
바이러스에 오염된 표면과의 접촉.
2. 주요 증상
1) 초기 증상
발열(보통 38~39℃).
피로, 식욕 부진.
인후통.
2) 진행 증상
입안 궤양(수포):
혀, 잇몸, 입천장에 통증을 동반한 물집.
손발의 발진:
손바닥, 발바닥, 엉덩이에 물집 형태의 발진.
가려움보다는 통증이 동반될 수 있음.
전신 증상:
드물게 팔다리 또는 엉덩이에 발진 확산.
3. 진단
1) 병력 및 증상 확인
발열, 손, 발, 입 부위의 전형적인 발진 및 궤양.
2) 실험실 검사(필요 시)
바이러스 배양 또는 RT-PCR 검사로 원인 바이러스 확인(드문 경우).
4. 치료 방법
손발발진병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대증 요법으로 증상을 완화합니다.
1) 통증 및 발열 완화
해열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이부프로펜 사용.
통증 완화:
입안 궤양으로 인한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 사용.
2) 수분 공급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
통증으로 인해 음식을 거부할 경우 시원한 음료나 부드러운 음식 제공.
3) 입안 궤양 관리
구강청결제 또는 의사가 추천하는 입안 진통제 사용.
4) 휴식 및 격리
충분한 휴식과 격리로 증상 완화와 전염 예방.
5. 합병증
손발발진병은 대부분 경미하게 지나가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탈수:
입안 궤양으로 인해 음식을 거부할 경우.
뇌수막염:
드물지만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 가능.
뇌염 및 마비:
엔테로바이러스 71(EV71)에 의한 심각한 경우.
손발톱 박리:
드물게 회복 후 손톱 또는 발톱이 떨어질 수 있음(일시적).
6. 예방 방법
1) 개인 위생 관리
손 씻기:
비누와 물로 20초 이상 철저히 손 씻기.
특히 화장실 사용 후, 식사 전, 아이 기저귀 교체 후.
기침 예절:
기침할 때 입과 코를 옷소매로 가리기.
오염된 물건 소독:
장난감, 문 손잡이 등 자주 만지는 물건을 소독.
2) 격리
감염자는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격리.
유치원, 어린이집 등 단체 생활은 최소 7일간 자제.
3) 공공장소 주의
유행 시기에는 사람이 많은 장소 방문 자제.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손발발진병은 성인에게도 발생하나요?
대부분 소아에서 발생하지만, 성인도 드물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경우 더 취약합니다.
Q2. 손발발진병은 전염성이 얼마나 강한가요?
매우 전염성이 강하며, 발병 후 첫 주에 가장 전염력이 높습니다.
Q3. 손발발진병은 재발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여러 유형의 바이러스가 원인이기 때문에 다른 유형에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Q4. 발진이나 물집을 터뜨리면 안 되나요?
터뜨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차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자연적으로 치유되도록 둡니다.
Q5. 손발발진병으로 병원에 가야 할 경우는 언제인가요?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될 때.
탈수 증상(소변 감소, 울 때 눈물이 나지 않음).
심한 두통, 목 경직, 발작 등의 신경계 증상이 나타날 때.
8. 결론
손발발진병은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는 흔한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대부분 경미하게 지나가지만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개인 위생 관리와 격리를 통해 전염을 예방하며,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는 소화기 계통에서 증식하고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군입니다.이 바이러스는 감염력이 강하고 여러 유
namo38.com
'의학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근염(Myocarditis) 및 심낭염(Pericarditi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0) | 2024.12.29 |
---|---|
헤르판지나(Herpangina):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0) | 2024.12.29 |
뇌수막염(Meningiti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0) | 2024.12.28 |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0) | 2024.12.28 |
독감(Influenza):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0) | 2024.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