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전정 기능 검사 (Vestibular Function Test): 어지럼증과 균형 장애 진단

by operation room 2025. 1. 10.
반응형

전정 기능 검사 (Vestibular Function Test): 어지럼증과 균형 장애 진단

전정 기능 검사 (Vestibular Function Test): 어지럼증과 균형 장애 진단
전정 기능 검사 (Vestibular Function Test): 어지럼증과 균형 장애 진단

전정 기능 검사는 귀의 내이 전정기관과 관련된 어지럼증, 균형 장애의 원인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전정기관은 균형 유지와 머리 움직임 감지를 담당하며, 이 기능이 손상되면 어지럼증, 균형 장애, 구역질, 그리고 시야의 흔들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전정 기능 검사의 목적

어지럼증 원인 진단

전정기관의 이상이 어지럼증의 원인인지 확인.

 

중추성과 말초성 원인 구분

뇌(중추신경계)와 귀(말초 전정기관) 문제를 구분.

 

평형 및 전정 기능 평가

전정기관과 이를 연결하는 신경 경로의 기능을 확인.

 

치료 계획 수립

재활 치료, 약물 치료 또는 수술 여부 결정.

전정 기능 검사 방법

1. 안구 운동 검사 (Oculomotor Test)

목적: 전정기관과 눈의 협응을 평가.

방법:

빛이나 물체를 따라 눈을 움직이도록 지시.

비정상적인 안구 운동(안진)이 있는지 확인.

진단 가능 질환:

전정 신경염, 메니에르병, 중추성 어지럼증.

 

2. 전기안진검사 (Electronystagmography, ENG) 또는 비디오안진검사 (Video Nystagmography, VNG)

목적: 눈의 움직임을 기록해 전정 반응 평가.

방법:

전극 또는 비디오 장치를 이용해 안구 움직임을 측정.

시각 자극 또는 체위 변화를 통해 안진 유발.

진단 가능 질환:

전정기관 기능 이상, 중추 신경계 손상.

 

3. 온도 검사 (Caloric Test)

목적: 양쪽 전정기관의 기능 비교.

방법:

외이도에 따뜻한 물 또는 차가운 물(또는 공기)을 주입.

온도 변화로 인해 유발되는 안구 운동(안진)을 평가.

진단 가능 질환:

한쪽 전정기관 기능 저하(예: 전정 신경염).

 

4. 체위성 안진검사 (Positional Nystagmus Test)

목적: 특정 자세에서 나타나는 안진 확인.

방법:

머리를 특정 방향으로 돌리거나 기울이는 동안 안진 유발 여부 관찰.

진단 가능 질환:

양성돌발성체위현훈(BPPV).

 

5. 전정유발근전위검사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VEMP)

목적: 전정기관과 목 근육 또는 눈 근육 간의 신경 반응 평가.

방법:

소리를 통해 전정기관을 자극하여 목 근육(SCM)이나 눈 근육 반응을 측정.

진단 가능 질환:

내림프수종, 전정기관 기능 이상.

 

6. 회전의자 검사 (Rotatory Chair Test)

목적: 전정-안구 반사(VOR)의 민감도와 양쪽 전정기관의 균형 평가.

방법:

회전의자에 앉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안구 움직임 측정.

진단 가능 질환:

양쪽 전정기관 손상.

 

7. 동적 자세 균형 검사 (Posturography)

목적: 전정기관, 시각, 신체 감각의 균형 유지 기여도를 평가.

방법:

움직이는 플랫폼 위에서 균형 유지 능력 측정.

진단 가능 질환:

전정기관 이상, 신경계 균형 문제.

 

8. 전정-안구 반사 검사 (Head Impulse Test, HIT)

목적: 고속 머리 회전 동안 전정기관과 안구의 반사 반응 평가.

방법:

환자의 머리를 갑작스럽게 회전시켜 눈의 반응 관찰.

진단 가능 질환:

전정 신경 손상.

전정 기능 검사 전 준비사항

식사

검사 전 4시간 동안 금식을 권장(구역질이나 구토 예방).

약물

어지럼증 완화제,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 복용 중단 필요(검사 결과 왜곡 방지).

피로 관리

검사 전 충분한 수면을 취해 몸 상태를 최적화.

전정 기능 검사가 필요한 경우

지속적 어지럼증

이유 없이 어지럼증이 자주 나타나는 경우.

 

이명 및 청력 손실

청력 저하와 이명이 어지럼증과 동반되는 경우.

 

균형 장애

걸을 때 비틀거림이나 균형을 잡기 어려운 경우.

 

두부 외상 후 어지럼증

머리 충격 후 어지럼증이 발생한 경우.

전정기관 관련 질환 의심

메니에르병, 전정 신경염, 양성돌발성체위현훈(BPPV) 등이 의심될 때.

 

검사 결과 해석

말초성 전정 문제

전정기관 자체 또는 전정 신경 손상.

예: 전정 신경염, 메니에르병, 양성돌발성체위현훈.

 

중추성 전정 문제

뇌나 뇌간, 소뇌 등 중추 신경계 손상.

예: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뇌종양.

 

양쪽 전정기관 손상

전정기관 양쪽 모두 손상된 경우.

예: 약물 독성, 양측 전정병증.

검사 후 관리

어지럼증 관리

검사 후 일시적으로 어지럼증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안정 취하기.

 

약물 복용 재개

검사 중단했던 약물을 다시 복용 가능.

 

정기적 진료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 치료 계획 논의.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전정 기능 검사는 얼마나 걸리나요?

검사 종류에 따라 다르며, 보통 30분~2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Q2. 검사가 아프거나 불편한가요?

비침습적 검사로 통증은 없지만, 일부 검사는 어지럼증이나 구역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Q3. 검사 후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나요?

대부분 검사 후 바로 일상생활로 복귀 가능하지만, 어지럼증이 심하면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전정 기능 검사는 모든 어지럼증에 필요한가요?

아니요, 의사의 판단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만 시행됩니다. 어지럼증 원인에 따라 적절한 검사 종류가 결정됩니다.

결론

전정 기능 검사는 어지럼증 및 균형 장애의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다양한 검사 방법으로 전정기관과 신경계의 상태를 정밀히 평가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로 이어집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질 경우, 반드시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이염 (Labyrinthitis): 내이의 염증성 질환

내이염 (Labyrinthitis): 내이의 염증성 질환내이염(Labyrinthitis)은 귀의 깊은 부위에 위치한 내이(미로)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현기증, 어지럼증, 청력 손실, 이명 등을 유발합니다.내이는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