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치매 (Dementia)

by operation room 2025. 4. 4.
반응형

치매 (Dementia)

치매 (Dementia)
치매 (Dementia)

1. 정의

치매는 후천적으로 발생한 지속적이고 진행적인 인지기능 저하를 말합니다.

단순한 건망증과는 달리, 기억력뿐 아니라 언어, 판단력, 시공간 감각, 성격, 감정 조절 등 여러 인지 영역에서 장애가 발생하고, 결국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합니다.

2. 주요 원인 및 종류

①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가장 흔한 치매 유형 (약 60~70%)

원인: 뇌에 비정상적인 단백질(아밀로이드, 타우)이 쌓이면서 뇌세포가 점차 파괴됨

특징: 서서히 시작되어 천천히 악화됨

초기 증상: 최근 기억 상실, 물건 두고 잊기, 같은 질문 반복

후기 증상: 길 찾기 어려움, 언어 장애, 성격 변화, 배회, 일상생활 수행 불가

 

② 혈관성 치매 (Vascular Dementia)

원인: 뇌졸중, 미세혈관 질환 등으로 뇌에 혈류 공급이 차단되어 발생

특징: 갑작스럽게 증상이 시작되거나 계단식으로 악화됨

동반 질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③ 루이소체 치매 (Dementia with Lewy Bodies)

특징: 시각 환각, 자세 불안정, 파킨슨 증상(떨림, 느린 움직임 등)이 동반

기억력보다는 주의력과 시공간 능력 저하가 먼저 나타날 수 있음

 

④ 전측두엽 치매 (Frontotemporal Dementia, FTD)

특징: 50~60대에 시작될 수 있으며, 성격 변화, 감정 제어 장애, 사회적 부적절 행동이 초기 증상

언어 능력 저하가 먼저 오는 경우도 있음

3. 주요 증상

주요 증상
주요 증상

4. 진단 방법

병력 청취 및 가족 면담

인지 기능 검사: MMSE, MoCA 등

뇌 영상 검사: MRI, CT (뇌 위축, 뇌졸중 등 확인)

혈액 검사: 갑상선 기능, 비타민 결핍, 감염 등 배제

신경심리검사: 상세한 인지영역 평가

5. 치료 및 관리

약물 치료

인지기능 개선제: 도네페질(Aricept), 리바스티그민(Exelon), 갈란타민 등

행동증상 치료제: 항우울제, 항정신병제(필요 시 최소한 사용)

 

비약물 치료

인지 재활 및 훈련 프로그램

환경 조절: 안전한 공간, 일정한 생활 루틴

가족 교육 및 상담

운동, 음악, 미술, 원예 활동 등도 도움이 됨

6. 예방 및 조기 관리

혈관 위험요소 관리: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적극 조절규칙적인 운동

뇌 자극 활동: 책 읽기, 퍼즐, 글쓰기, 새로운 취미 배우기 등

사회적 교류 유지: 고립 예방

건강한 식습관: 지중해 식단, 오메가3 등 뇌 건강에 도움

7. 요약

치매는 단순한 노화가 아닌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 가족의 지지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뇌졸중 (Stroke) – 증상, 원인,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뇌졸중 (Stroke) – 증상, 원인,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뇌졸중(Stroke)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서 뇌에 혈류 공급이 중단되어 뇌세포가 손상되는 응급질환입니다.“골든타임 3시간”이라는 말이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