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2000

정형외과 질환 - 평발 평발은 많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하나의 병변으로 발바닥의 세로 궁의 유연성에 따라 유연성 평발과 강직성 평발로 나눌수 있습니다. 대부분 유연성 평발이며 발바닥의 유연성이 있어서 서 있을때만 평발의 모양을 나타내므로 2살 미만의 아이들은 거의 모두 유연성 평발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크면서 자연스럽게 정상 상태의 발 모양이 되고 어른이 되어도 평발인 경우 10-20%정도 나타납니다. 강직성 평발은 발바닥 세로궁에 유연성이 없어서 어떤 자세에도 항상 평발의 모습을 보입니다. 대표적 원인으로 선천성 수직 거골, 선천성 족근 결합, 발 뒤꿈치뼈의 골절, 탈구, 발 뒤꿈치 관절의 염증 등이 있습니다. 2023. 6. 25.
정형외과 질환 - 뒤꿈치 통증 소아의 발 뒤꿈치가 아픈 증상이 간혹 나타나는데 증상으로 보면 됩니다. 다리를 절기도 하고 발 앞으로만 걷기도 하고 정상적인 활동이나 운동이 힘듭니다. 원인으로 발뒤꿈치뼈와 물렁뼈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대부분 8살에서 14살 사이에 발생하고 sever 씨 병이라고 하며 종골의 성장판이 근육이 당기고 반복적인 자극이 발생하여 운동을 많이 하거나 비만아동에서 볼 수 있습니다. 주로 걸을 때 통증이 심하고 뒤꿈치가 땅에 닿을 때 통증을 느낍니다. 진단은 전문의가 증상과 이학적 검사를 하고 방사선 사진을 찍어보면 대부분 진단됩니다. 치료는 통증을 유발하는 운동을 줄이거나 중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운동이 필요한 경우 뒤꿈치에 쿠션을 끼워주는 것도 좋습니다. 통증이 심하면 소염진통제를 처방하고 석고고정으로 발의 .. 2023. 6. 24.
정형외과 질환 - 듀피트렌 구축 4,5번째 손가락이 펴지지 않는 질환을 말합니다. 2023. 6. 23.
정형외과 질환 - 슬개골 골절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슬개골에 금이 가거나 부러진 상태를 말합니다. 슬개골 골절의 주요 원인은 교통사고, 추락, 점프, 달리기 등이 있습니다. 슬개골이 골절되면 심한 통증과 압통을 동반하고 일어서기가 힘듭니다. 골절부위를 손으로 누르면 그 부위가 함몰되고 골절된 직후부터 부종이 나타납니다. 슬개골 골절의 진단을 위해 진찰과 소견,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고 진단이 불확실할땐 관절경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전위가 없거나 분쇄되지 않은 골절은 석고 고정을 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2023. 6.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