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2000 정형외과 질환 - 재발성 견관절 전방탈구 어깨 관절이 한번 빠진 후 어깨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해주는 관절순, 인대, 관절낭 등이 손상되어 어깨 관절이 이탈되는 상태가 반복되는 것을 말합니다. 10대때 탈구가 발생하면 반복해서 나타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어깨관절을 충분한 기간동안 올바른 방법으로 고정해야 합니다. 어깨를 감싸고 있는 관절낭이 이완되거나 찢어져서 상완골 골두가 자꾸 전방으로 탈구되는 것으로 손목을 갑자기 잡아당기거나 넘어지면서 어깨에 갑자기 충격이 갔을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탈구가 발생하게 되면 양팔의 길이가 달라지고 아픈 팔을 들어올릴 수가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어깨 뒤쪽을 밀면 어깨가 앞으로 빠지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야구공 던지는 자세를 하면 다시 어깨가 빠지려는 현상이 생깁니다. 처음 탈구시에는 심한 통증이 있으나 시간이.. 2023. 6. 8. 정형외과 질환 - 대퇴 골절 (Fracture of femur) 대퇴는 골반뼈와 넙적다리뼈를 잇는 관절로 하반신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관절이 골절되면 서고 걷는 것 등의 기본적인 활동이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균형감각이 떨어지고 뼈가 약하기 때문에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거나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고관절 골절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관절 골절의 증상은 외상이 있으면서 다리를 움직일 수 없거나 골절이 심하면 다리가 짧아보일 수 있습니다. 엉덩이 관절을 움직이면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양반 다리를 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집니다. 진단으로는 X-ray, 동위원소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골절 상태에 따라서 다양하며 골절 부위가 서로 심하게 박혀있는 감입 골절에 경우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후에는 동위원소 검사를 .. 2023. 6. 7. 정형외과 질환 - 회전 근개 증후군(Rotator cuff syndrome) 회전 근개에 변형과 파열이 생긴 질환을 말하며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4개의 근육을 말합니다.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을 말하며 회전 근개 증후군을 유발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운동에 의해 근육이나 힘줄이 과도하게 사용되거나 과도한 힘을 가했을 때 생기는 염증으로 인해 2. 어깨 관절과 회전 근개 힘줄 사이의 활막의 자극이나 염증으로 인해 3.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면 염증이 악화되거나 만성적으로 근육이 퇴행하거나 파열이 일어날 수 있고 4. 40세 이상이 되면 화전 근개 근육이나 힘줄이 퇴행성으로 변화하여 파열될 수 있습니다. 5. 좋지 않은 자세를 취하거나 팔을 딛고 넘어졌을 때,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머리 위쪽으로 팔을 많이 올릴 때 회전 근개 근육이나 힘줄에 .. 2023. 6. 6. 정형외과 질환 - 염좌(sprain) 인대가 사고나 외상으로 인해 손상된 것을 말하며 인대가 손상되면 인대가 찢어지거나 늘어나 관절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2023. 6. 5. 이전 1 ··· 475 476 477 478 479 480 481 ··· 50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