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녹내장 유발 약물 총정리: 안압 상승 주의! 눈 건강을 지키는 복약 가이드

by operation room 2025. 7. 20.
반응형

녹내장 유발 약물 총정리: 안압 상승 주의! 눈 건강을 지키는 복약 가이드

녹내장 유발 약물 총정리: 안압 상승 주의! 눈 건강을 지키는 복약 가이드
녹내장 유발 약물 총정리: 안압 상승 주의! 눈 건강을 지키는 복약 가이드

"갑자기 눈이 뻑뻑하고 흐려 보여서 병원에 갔더니 녹내장 초기라네요… 평소 쓰던 약이 문제일 수도 있대요."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약물이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안압을 상승시키는 약물은 녹내장 위험이 있는 사람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 약물과 사용 시 주의사항을 총정리합니다.

👁 녹내장이란?

녹내장(Glaucoma)은 눈 속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면서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대부분 서서히 진행되어 자각이 어렵고,

방치하면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주요 원인: 안압 상승, 혈류 장애, 시신경 취약성

🔹 초기 증상 거의 없음 → 정기검진 필수

⚠ 약물로도 녹내장이 생긴다?

그렇습니다.

특정 약물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압을 상승시킴

방수(눈 안의 액체)의 배출을 방해함

동공을 확장시켜 전방각 폐쇄 유도

👉 특히 폐쇄각 녹내장 환자는 약물로 급성 발작이 생길 수 있어약 복용 전 반드시 안과 병력 상담이 필요합니다.

💊 녹내장 유발 약물 리스트

1️⃣ 스테로이드제 (전신용 · 국소용 모두 포함)

점안제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등

 

경구제/주사제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연고/흡입제/코 스프레이

베클로메타손, 부데소니드 등

 

🔹 기전: 방수 유출 저해 → 안압 상승

🔹 사용 기간이 길수록 위험

🔹 대표적 개방각 녹내장 유발 약물

 

2️⃣ 항콜린성 약물 (동공 확장 유도)

감기약/항히스타민제

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등

 

진경제

부스코판(히오사민), 아트로핀

 

항우울제/항불안제

아미트립틸린, 벤조디아제핀류

 

🔹 기전: 동공 확장 → 전방각 폐쇄 유발

🔹 폐쇄각 녹내장 환자 주의

 

3️⃣ 마약성 진통제 및 일부 정신과 약물

마약성 진통제

모르핀, 코데인 등

 

항정신병제

클로자핀, 할로페리돌 등

 

항우울제

트라이사이클릭, SSRI 일부

🔹 일부는 동공 확장 + 안압 증가 동시 유발

 

4️⃣ 기타 주의해야 할 약물

기관지확장제

살부타몰, 이프라트로피움 등 교감신경 자극 → 안압 ↑일부

 

혈관수축제

페닐에프린 (눈 충혈약 성분) 동공 확장 → 폐쇄각 자극

 

항파킨슨제

벤즈트로핀 등 항콜린 작용 → 안압 ↑

 

멀미약/진토제

스코폴라민 등 동공 확장 → 폐쇄각 자극

👥 이런 분들은 특히 조심하세요

폐쇄각 녹내장 진단받은 환자

녹내장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고도근시, 고령자, 당뇨병 환자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자

📌 녹내장 진단 전에도 약물 반응에 따라 급성 녹내장 발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복용 중 약물이 걱정된다면?

복용 전 안과 병력 알리기

→ 특히 감기약·알레르기약 처방 시 강조

갑자기 시야가 흐려지거나 통증, 구토, 충혈이 동반되면 응급 안과 방문

스테로이드 점안제는 정기적인 안압 체크 필수

🙋 자주 묻는 질문 (FAQ)

Q. 감기약에도 녹내장 위험이 있나요?

➡ 네. 항히스타민제나 항콜린 성분이 들어간 감기약은 폐쇄각 녹내장 발작 유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녹내장 환자는 감기약 복용 전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Q. 스테로이드 연고도 눈에 영향이 있나요?

➡ 네. 피부용이라도 눈 주위에 오래 바르면 혈관을 통해 흡수되어 안압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Q. 녹내장 있는 가족이 있는데 저도 위험한가요?

➡ 유전적 소인이 있는 경우, 약물 복용 시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Q. 약 복용 전 녹내장 진단을 꼭 받아야 하나요?

➡ 고위험군이라면 한 번쯤 안과 검진으로 개방각/폐쇄각 여부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결론: 평소 쓰는 약도 ‘눈 건강’에 영향을 줍니다

녹내장은 조용히 진행되지만 실명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은 그보다 더 중요합니다.

✅ 약을 처방받거나 구매하기 전, 녹내장 병력은 꼭 알리기

✅ 스테로이드 안약·연고·흡입제는 사용 기간 엄격히 제한
✅ 안과 정기검진으로 안압과 시신경 상태 확인

🔍 나도 모르게 사용 중인 약물이

눈 건강을 위협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눈이 뻑뻑하고 시야가 흐릿해지기 전에 꼭 체크하세요!

 

 

백내장 유발 안약, 제대로 알고 사용하세요: 장기 사용 시 주의할 약물 총정리

백내장 유발 안약, 제대로 알고 사용하세요: 장기 사용 시 주의할 약물 총정리"눈이 충혈돼서 처방받은 안약을 오래 썼는데… 시야가 흐릿해졌어요."이런 경험 있으신가요?눈 치료에 자주 쓰이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