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유발 안약, 제대로 알고 사용하세요: 장기 사용 시 주의할 약물 총정리
"눈이 충혈돼서 처방받은 안약을 오래 썼는데… 시야가 흐릿해졌어요."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눈 치료에 자주 쓰이는 스테로이드 안약,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는 안약의 종류, 사용 시 주의점, 대체 가능성까지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 백내장이란?
백내장이란 눈 속의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질환으로,
시야가 뿌옇게 보이고 빛 번짐, 눈부심, 시력 저하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시력장애입니다.
주로 노화로 발생하지만,
약물에 의한 2차 백내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는 안약: 스테로이드 계열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안약은 바로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점안제입니다.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강력한 항염 효과, 바이러스 결막염·포도막염 등에 사용 높음
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
수술 후 염증, 안과 염증 질환에 자주 사용 높음
플루오로메톨론 (Fluorometholone)
상대적으로 부작용 낮지만 장기 사용 시 위험 중간
로테프레드놀 (Loteprednol)
최근 개발된 저안압형 스테로이드 낮음(안전성 개선됨)
📌 사용 기간이 길고, 고농도일수록 백내장 유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스테로이드 안약이 백내장을 유발하는 이유
스테로이드 성분이 수정체 내부 대사에 영향을 주어,
수정체 세포 내 단백질이 뭉치고 변성되면서 혼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수정체 투명도가 떨어지고, 후낭하백내장(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이 생깁니다.
후낭하백내장의 특징
젊은 사람에게도 발생 가능
밝은 곳에서 시야 흐림, 책 읽기 어려움
진행 빠름
수술 외에 근본 치료법 없음
🧪 누가 더 주의해야 할까?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백내장 유발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스테로이드 안약을 2주 이상 지속 사용한 경우
안과 수술 후 스테로이드 안약 장기처방 받은 경우
스테로이드 점안제 외 스테로이드 연고, 알약도 복용 중인 경우
고도근시, 당뇨병, 가족력 등 백내장 고위험군
✅ 스테로이드 안약 사용 시 주의사항
체크리스트 설명
① 처방 없이 임의 사용 금지 증상 좋아져도 자가 판단은 금물
② 장기 사용 시 정기 검진 필수 안압 + 수정체 혼탁 여부 확인 필요
③ 증상 개선되면 용량·횟수 감량 갑작스런 중단은 ‘반동성 염증’ 위험 있음
④ 자외선 차단도 중요 백내장 진행에 자외선도 영향을 미침
💡 대체 가능한 항염증 안약은?
스테로이드 부작용 우려가 있다면,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SAIDs) 점안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브로몰펜 (Bromfenac)
수술 후 통증·염증 조절에 사용됨
케토롤락 (Ketorolac)
알레르기·결막염 증상 완화에 효과적
디클로페낙(Diclofenac)
안구 건조로 인한 염증에도 사용 가능
🔹 부작용은 적지만, 스테로이드만큼 강력한 항염 효과는 부족할 수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스테로이드 안약 얼마나 써야 백내장이 생기나요?
➡ 일반적으로 2~4주 이상 연속 사용 시 위험 증가하며,고농도 또는 3개월 이상 장기 사용 시 더 주의해야 합니다.
Q. 이미 흐릿한데 백내장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시야 뿌연 느낌, 빛 번짐, 독서 불편 등이 지속된다면 안과 정밀검진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Q. 백내장 유발 안약을 썼으면 어떻게 하나요?
➡ 증상이 없다면 정기검진 유지,
시야 이상 있다면 수정체 혼탁 여부 확인 + 조기 치료 계획 필요Q. 스테로이드 안약 안 쓰면 되지 않나요?
➡ 염증성 안질환에서는 스테로이드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입니다.
다만 단기 사용과 의사 관리하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결론: 효과적인 약도 ‘주의 깊게 써야’ 안전합니다
스테로이드 안약은
✅ 눈의 염증 완화
✅ 수술 후 회복 촉진
✅ 알레르기 증상 조절
등 다양한 안질환에서 매우 유용한 치료제입니다.
하지만 장기 사용 시 백내장, 안압 상승, 감염 위험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과 전문의의 처방과 지시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안약도 약입니다.
✔ 눈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습니다.
안약 사용 중 시야가 뿌옇고 눈부심이 생긴다면 즉시 안과 진료를 받으세요!
바이러스성 결막염(유행성 결막염) 완벽 가이드: 전염성과 치료법 총정리
바이러스성 결막염(유행성 결막염) 완벽 가이드: 전염성과 치료법 총정리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나고, 끈적한 눈곱까지…"게다가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도 같은 증상을 겪고 있다면?이럴 경우
namo38.com
'의학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내장 유발 약물 총정리: 안압 상승 주의! 눈 건강을 지키는 복약 가이드 (0) | 2025.07.20 |
---|---|
스테로이드 안약 부작용 총정리: 효과만큼 주의도 필요한 눈 치료제 (0) | 2025.07.19 |
항염증제 안약 완벽 정리: 눈의 염증을 잡는 핵심 치료제 (0) | 2025.07.19 |
바이러스성 결막염(유행성 결막염) 완벽 가이드: 전염성과 치료법 총정리 (0) | 2025.07.18 |
알레르기성 결막염 완벽 정리: 가려운 눈, 제대로 알고 치료하자 (1) | 2025.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