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 및 프리즘 검사란?
1. 렌즈 및 프리즘 검사란?
렌즈 및 프리즘 검사는 수정체 혼탁(백내장), 유리체 출혈, 시신경 이상 등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는 정밀 안과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눈의 굴절 이상뿐만 아니라 눈 내부의 구조적 변화를 평가하여 시력 저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백내장 조기 진단 및 진행 상태 확인
✅ 유리체 출혈 여부 평가
✅ 시신경 이상(녹내장, 시신경염 등) 정밀 검사
✅ 사시 및 복시(겹쳐 보임) 원인 분석
2. 렌즈 및 프리즘 검사의 목적
✔ 수정체 혼탁(백내장) 진단 – 수정체의 혼탁 정도 및 진행 여부 확인
✔ 유리체 출혈 평가 – 유리체 출혈이 있는지 확인하여 당뇨망막병증, 망막열공 등의 질환 조기 발견
✔ 시신경 이상 확인 – 녹내장, 시신경염, 시신경 위축 등의 질환 평가
✔ 사시 및 복시 검사 – 눈의 초점 조절 이상 여부 확인
3. 검사 방법
① 렌즈 검사(Lens Examination)
– 백내장 및 유리체 상태 평가
세극등 현미경(Slit Lamp)과 확대 렌즈를 사용하여 수정체 및 유리체 상태 관찰
수정체 혼탁(백내장)의 진행 정도 평가
유리체 출혈 여부 확인
② 프리즘 검사(Prism Test)
– 시신경 및 사시 평가 프리즘을 이용해 두 눈이 초점을 맞추는 방식(눈 근육 균형)을 평가
복시(겹쳐 보임), 사시, 시신경 이상 여부 분석
프리즘 디옵터(Δ, 프리즘 도수)를 이용하여 사시 정도 측정
4. 검사 결과 해석
✔ 백내장 진행 시 → 수정체 혼탁이 증가하여 시력 저하 가능
✔ 유리체 출혈 발견 시 → 출혈 범위 및 망막 질환 동반 여부 평가 필요
✔ 녹내장 또는 시신경 이상 발견 시 → 추가적인 시야 검사(VF Test) 및 안압 검사 필요
✔ 프리즘 검사에서 이상 발견 시 → 복시, 사시 교정이 필요한 경우 프리즘 안경 처방
📌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망막 검사, OCT(광간섭단층촬영), 안저 검사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5. 검사 후 주의사항
산동검사가 병행될 경우 3~4시간 동안 시야가 흐릴 수 있으므로 운전 금지
강한 조명을 이용한 검사로 눈부심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선글라스 착용 권장
필요 시 프리즘 안경 처방을 받을 수 있음
유리체 출혈이 확인된 경우, 추가적인 혈관 검사(FAG, OCT-A)가 필요할 수 있음
6. 렌즈 및 프리즘 검사는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시야가 흐려지거나 뿌옇게 보이는 경우(백내장 의심)
✔ 눈을 움직일 때 겹쳐 보이는 증상이 있는 경우(복시, 사시 검사 필요)
✔ 눈 안쪽에서 검은 점이 떠다니는 느낌(비문증)과 함께 출혈이 의심되는 경우
✔ 녹내장 가족력이 있거나 시신경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
📌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백내장, 유리체 출혈, 시신경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눈 건강을 관리하세요!
안과 검사 종류 및 절차 – 시력과 눈 건강을 위한 필수 검사
안과 검사 종류 및 절차 – 시력과 눈 건강을 위한 필수 검사1. 안과 검사란?안과 검사는 눈의 시력, 안압, 망막 건강, 안구 표면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입니다.단순한 시력 측정뿐
namo38.com
'의학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동제 사용 시 주의사항 (0) | 2025.02.14 |
---|---|
안저 검사(Fundoscopy / Retinal Exam)란? (0) | 2025.02.14 |
전방 깊이 검사(Ant. Chamber Depth Test)란? (0) | 2025.02.13 |
형광 염색 검사(Fluorescein Staining Test)란? (0) | 2025.02.13 |
세극등 현미경 검사(Slit Lamp Exam)란? (0) | 2025.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