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렛 핑거 (Mallet Finger) | 손가락 끝이 펴지지 않는 이유
말렛 핑거란?
말렛 핑거(Mallet Finger)는 손가락 끝을 펴는 힘줄(신전건, extensor tendon)이 끊어지거나, 힘줄이 붙어 있는 뼈가 골절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때 손가락 끝마디가 늘어진 채로 아래로 처져 있으며, 본인의 힘으로 끝까지 펴지지 않습니다. 흔히 “야구손가락(Baseball Finger)”이라고도 불립니다.
원인
스포츠 활동 중 공에 손가락 끝이 부딪힐 때
일상에서 문이나 물건에 손끝이 꺾일 때
단순 외상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손끝 관절이 갑자기 굽혀지는 경우 흔함
주요 증상
손가락 끝이 항상 굽어져 있고, 스스로 펴지지 않음
손끝 관절(DIP joint)에 통증과 붓기
힘을 줄 수 없고, 손가락 모양이 변형됨
골절이 동반되면 통증이 더 심하고 부종이 크며 X-ray에서 확인 가능
진단 방법
환자의 증상과 외상 이력으로 의심
X-ray 검사로 뼈 골절 여부 확인
힘줄 단열만 있는지, 뼈가 함께 부러졌는지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짐
치료 방법
1. 보존적 치료
골절이 없거나 경미할 경우
스플린트(부목) 고정: 손가락 끝 관절을 6~8주간 완전히 편 상태로 유지
중간에 구부러지면 치료 기간이 초기부터 다시 시작되므로 관리가 매우 중요
2. 수술적 치료
뼈가 함께 부러져 골편이 크거나, 관절면이 어긋난 경우
보존적 치료로 교정이 안 되는 경우
핀 고정술, 나사 고정술 등 시행
예후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좋은 결과
치료 시기를 놓치면 손가락 끝이 굽은 변형(말렛 변형)으로 남을 수 있음
일부 환자에서 약간의 굽힘 각도는 남을 수 있으나 기능적으로 큰 문제는 없음
예방법
스포츠 시 보호 장비 착용
손가락 끝에 직접 충격이 가지 않도록 주의
초기 외상 시 방치하지 말고 빠른 진단 받기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말렛 핑거는 저절로 나을 수 있나요?
👉 대부분은 부목 고정으로 회복되지만, 방치하면 손가락이 굽은 채로 변형될 수 있습니다.
Q2. 부목은 얼마나 오래 해야 하나요?
👉 최소 6주 이상, 보통 6~8주간 연속적으로 착용해야 합니다. 중간에 손가락이 굽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Q3. 수술은 언제 필요한가요?
👉 뼈 조각이 크거나 관절이 어긋났을 때, 혹은 보존적 치료가 실패한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
Q4. 완치 후에도 손가락이 약간 굽어있을 수 있나요?
👉 일부 환자에게는 약간의 굽힘 각도가 남을 수 있지만, 기능적으로 큰 문제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
말렛 핑거는 손가락 끝을 펴는 힘줄 손상으로 인해 손끝이 처지는 질환입니다.
대부분은 부목 고정만으로도 호전되지만, 뼈 골절이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조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손가락 기능을 보존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손 질환 총정리 |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
손 질환 총정리 |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손 질환이란?손은 뼈, 관절, 힘줄, 신경, 혈관, 피부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작은 손상이나 질환에도 쉽게 통증과 기능 저하가 발생합니다.스마트폰·컴퓨
namo38.com
'의학에 대해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초음파 | 유방 건강을 지키는 기본 검사 (0) | 2025.09.08 |
---|---|
뒤퓌트렌 구축증 (Dupuytren’s Contracture) | 손가락이 굽는 질환 (0) | 2025.09.08 |
손가락이 안 펴져요 | 원인과 치료, 자주 묻는 질문 (0) | 2025.09.08 |
드퀘르벵병 (De Quervain’s disease) | 엄지손가락 통증의 원인 (0) | 2025.09.06 |
방아쇠수지 (Trigger Finger) | 증상·원인·치료 총정리 (0) | 2025.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