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뒤퓌트렌 구축증 (Dupuytren’s Contracture) | 손가락이 굽는 질환

by operation room 2025. 9. 8.
반응형

뒤퓌트렌 구축증 (Dupuytren’s Contracture) | 손가락이 굽는 질환

 

뒤퓌트렌 구축증이란?

뒤퓌트렌 구축증(Dupuytren’s Contracture)은 손바닥의 섬유조직(근막, palmar fascia)이 점차 두꺼워지고 수축하면서 손가락을 당겨 굽게 만드는 질환입니다.

처음에는 손바닥에 작은 멍울(결절)이 잡히다가, 점차 섬유띠(cord)로 변하면서 손가락이 펴지지 않게 됩니다.

원인 및 위험 요인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

유전적 요인: 북유럽계 남성에서 흔히 발생 (“바이킹 병”이라 불림)

연령: 주로 50세 이상

성별: 남성이 여성보다 5~10배 흔함

관련 요인: 당뇨, 알코올, 흡연, 간질환, 반복적인 손 사용

주요 증상

손바닥에 단단한 멍울(결절)이 만져짐

시간이 지나면서 섬유띠(cord)가 형성되어 손가락이 점점 굽음

주로 약지, 새끼손가락에서 시작 → 점차 다른 손가락으로 진행

통증은 거의 없지만, 손을 펴는 기능이 제한됨

심하면 손바닥을 평평한 바닥에 대지 못함 (탁자 검사, Tabletop Test 양성)

진단 방법

병력 청취와 신체 진찰만으로 대부분 진단 가능

X-ray는 필요 없으며, 초음파나 MRI는 다른 질환 감별에 사용

치료 방법

1. 초기 단계 (경과 관찰)

단순히 결절만 있고 손가락이 굽지 않은 경우

기능에 큰 문제가 없으면 관찰하며 경과 확인

 

2. 주사치료

콜라겐 분해효소 주사 (Collagenase, Xiaflex®)→ 섬유띠를 분해하여 손가락이 펴지도록 함

국소 마취 후 시행, 비교적 간단하고 회복 빠름

 

3. 바늘절개술 (Needle aponeurotomy)

국소 마취 후 바늘로 섬유띠를 절개하여 손가락을 펴는 방법

절개 부위가 작아 회복 빠르지만, 재발 가능성 있음

 

4. 수술적 치료 (근막절제술, Fasciectomy)

섬유띠를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

심한 구축이나 반복 재발 시 시행

효과는 가장 확실하나, 회복 시간이 길고 합병증 가능성 존재

예후

진행 속도는 개인차가 크며, 일부는 서서히 진행해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음

하지만 손가락이 굽은 각도가 커질수록 치료가 어려워지고 재활 기간이 길어짐
초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손 기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음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뒤퓌트렌 구축증은 통증이 있나요?

👉 대부분 통증은 없으며, 기능 제한이 주된 문제입니다.

Q2. 주사치료로 완치가 가능한가요?

👉 섬유띠를 풀어주어 손가락이 펴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재발할 수 있습니다.

Q3. 수술하면 재발이 없나요?

👉 수술 후에도 수년 뒤 재발할 수 있으므로, 꾸준한 경과 관찰이 필요합니다.

Q4.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며, 위험 요인(흡연·음주)을 줄이고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합니다.

결론

뒤퓌트렌 구축증은 손바닥 조직이 두꺼워져 손가락이 굽는 질환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기능 제한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관찰로 충분할 수 있지만, 진행 시에는 주사치료·바늘절개술·수술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의심된다면 조기 진료를 받아 손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