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by operation room 2024. 12. 28.
반응형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엔테로 바이러스(Enterovirus)는 소화기 계통에서 증식하고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군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감염력이 강하고 여러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발발진병과 같은 경미한 질환부터 심각한 신경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 엔테로 바이러스란?

1) 주요 유형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손발발진병, 급성 심근염 등.

에코바이러스(Echovirus): 뇌수막염, 발진.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소아마비를 유발.

엔테로바이러스 A, B, C, D: 다양한 질환의 원인.

 

2) 전파 경로

분변-구강 경로: 오염된 음식, 물, 손을 통해 감염.

호흡기 전파: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접촉: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체(장난감, 문손잡이 등)를 만진 후 입, 코, 눈을 만질 때.

2. 주요 증상

1) 일반적인 증상

발열, 피로감.

인후통, 콧물.

근육통, 두통.

 

2) 특정 질환에 따른 증상

손발발진병

발열, 손과 발, 입 주변의 물집.

어린이에게 흔함.

 

헤르판지나(Herpangina)

목구멍과 편도에 물집 및 궤양.

발열, 인후통 동반.

 

뇌수막염

두통, 목 경직, 발열.

심한 경우 의식 저하, 경련.

 

심근염 및 심낭염

흉통, 호흡 곤란, 심박수 이상.

 

소아마비(Polio)

팔다리 마비, 근육 약화.

예방 접종으로 현재는 매우 드물게 발생.

3. 진단 방법

증상 및 병력 확인

발열, 발진, 호흡기 증상 여부.

 

실험실 검사

RT-PCR 검사: 혈액, 대변, 인후 샘플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확인.

혈청 검사: 특정 엔테로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확인.

 

뇌척수액 검사

중추신경계 증상이 있을 경우 시행.

4. 치료 방법

엔테로 바이러스 감염은 대체로 대증 요법으로 치료합니다. 바이러스 자체를 제거하는 특별한 항바이러스제는 없습니다.

 

1) 일반 치료

해열제:

발열과 통증 완화를 위해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또는 이부프로펜 사용.

 

수분 보충: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

 

안정:

충분한 휴식과 면역력 회복.

2) 중증 합병증 관리

뇌수막염 및 심근염:

병원에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입원 치료.

 

호흡곤란:

산소 공급 및 중환자 치료 필요.

3) 예방적 항생제 사용은 불필요 엔테로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감염이므로 항생제는 효과가 없습니다.

 

5. 예방 방법

1) 개인 위생

손 씻기:

비누와 물로 20초 이상 손을 철저히 씻기.

화장실 사용 후, 식사 전, 야외 활동 후 손 씻기.

 

기침 예절: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입과 코를 옷소매로 가리기.

 

오염 방지:

장난감, 도구 등을 주기적으로 소독.

 

2) 예방 접종

폴리오 백신:

소아마비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접종.

 

3) 공공장소 주의

유행 시기에는 사람이 많은 곳 방문을 자제.

 

4) 면역력 강화

균형 잡힌 식사,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운동으로 면역 체계 강화.

6. 엔테로 바이러스의 합병증

뇌수막염

신경계 감염으로 두통, 발열, 의식 저하를 유발.

 

심근염 및 심낭염

심장 기능 손상 및 흉통.

 

폐렴 및 호흡부전

중증 호흡기 증상으로 진행 가능.

 

소아마비 후유증

드물게 마비 및 근육 위축.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엔테로 바이러스는 누구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나요?

주로 영유아 및 어린이에서 흔하며, 성인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Q2. 엔테로 바이러스는 감기와 어떻게 다른가요?

엔테로 바이러스는 감기 증상 외에 발진, 물집, 신경계 증상을 동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Q3. 엔테로 바이러스 감염은 재발할 수 있나요?

엔테로 바이러스는 여러 유형이 있어 한 번 감염되더라도 다른 유형에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Q4. 엔테로 바이러스는 얼마나 오래 전염성이 있나요?

증상 발현 전후로 약 1~2주간 전염성이 있습니다. 대변에서는 최대 몇 주까지 바이러스가 검출될 수 있습니다.

 

Q5. 손발발진병에 걸린 아이는 언제부터 등원/등교할 수 있나요?

증상이 완화되고 열이 없는 상태에서 등원/등교가 가능합니다. 감염 후 약 7일 정도가 지나면 전염성이 감소합니다.

8. 결론

엔테로 바이러스는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감염병으로, 개인 위생 관리와 예방 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입니다.

감염 시 증상이 경미하면 대증 요법으로 관리할 수 있지만, 중증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해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예방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독감(Influenza):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독감(Influenza):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독감(Influenza)**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감기와 증상이 유사하지만 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독감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