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자동 시야 검사 (Humphrey Visual Field Test, HFA)란?

by operation room 2025. 2. 16.
반응형

자동 시야 검사 (Humphrey Visual Field Test, HFA)란?

자동 시야 검사 (Humphrey Visual Field Test, HFA)
자동 시야 검사 (Humphrey Visual Field Test, HFA)

1. 자동 시야 검사(Humphrey Visual Field Test, HFA)란?

자동 시야 검사(HFA, Humphrey Visual Field Test) 는 시야(Vision Field)를 측정하여 눈이 얼마나 넓은 범위를 볼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녹내장, 시신경 손상, 뇌질환 등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환자가 화면을 응시하는 동안 빛이 랜덤하게 나타나며, 보이면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진행됨

✔️ 일반적인 시야 검사보다 정밀하게 시야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음

✔️ 특히 녹내장 진행 여부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검사

2. 자동 시야 검사가 필요한 경우

✅ ① 녹내장(Glaucoma) 진단 및 진행 상태 평가

녹내장은 시야 손실이 특징적인 질환으로, 초기에는 자각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주변 시야부터 서서히 손실되며,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 가능성 있음

정기적인 시야 검사를 통해 녹내장 진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 ② 시신경 손상(Optic Nerve Damage) 평가

시신경염, 시신경 위축 등 시신경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 시야 감소가 나타날 수 있음

뇌종양이나 외상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도 시야 검사로 확인 가능

✅ ③ 뇌질환(뇌졸중, 뇌종양) 진단

뇌졸중이나 뇌종양이 있는 경우 한쪽 시야가 소실(반맹, Hemianopia)될 가능성이 높음

뇌병변이 시각 신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시야 장애 발생

✅ ④ 망막 질환(Retinal Disease) 평가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등 망막 이상으로 인한 시야 결손 확인

3. 자동 시야 검사(HFA) 진행 과정

✅ 검사 절차

한쪽 눈을 가리고 검사 진행 (각 눈을 개별적으로 검사)

검사 장치(훔프리 시야계)에 얼굴을 고정

검사 화면을 응시한 상태에서 빛이 랜덤하게 나타남

빛이 보일 때마다 버튼을 눌러 반응

시야 감도 및 이상 여부를 평가하여 결과 분석

📌 검사 시간: 한쪽 눈당 약 5~7분 정도 소요

📌 환자가 집중해야 할 점

✔️ 중앙 초점을 유지하며 눈을 움직이지 않기

✔️ 빛이 보이면 빠르게 버튼을 눌러 반응

✔️ 검사 도중 눈을 움직이거나 집중력이 떨어지면 결과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음

4. 자동 시야 검사 결과 해석

✅ 정상 시야 검사 결과

✔️ 검은 점 없이 균일한 패턴이 나타남

✔️ 주변 시야와 중심 시야 모두 정상적인 감도를 유지

✅ 이상 시야 패턴 및 질환별 특징

이상 시야 패턴 및 질환별 특징
이상 시야 패턴 및 질환별 특징

📌 녹내장의 경우, 초기에 주변 시야부터 점진적으로 손실되다가 말기에는 터널 시야로 진행됨

📌 뇌졸중으로 인한 시야 장애는 특정 방향으로 시야가 손실되는 반맹(Hemianopia)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5. 자동 시야 검사(HFA)의 장점 & 한계점

✅ HFA 검사 장점

✔️ 정확한 시야 측정 가능 → 개인별 시야 감도를 정밀하게 분석

✔️ 비교적 짧은 검사 시간(5~7분)

✔️ 녹내장 진행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

✔️ 뇌졸중, 시신경 질환 등 전반적인 신경학적 이상 감지 가능

⚠️ HFA 검사 한계점

✔️ 환자의 협조도가 중요 → 버튼을 정확히 눌러야 신뢰도 높은 결과 도출 가능

✔️ 눈의 피로도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검사 도중 집중력이 떨어지면 부정확한 결과 가능성

✔️ 검사 결과가 즉시 진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다른 검사(안압 검사, OCT, 망막 검사)와 함께 평가 필요

6. 자동 시야 검사 후 추가적으로 필요한 검사

✔️ 안압 검사 (IOP, Intraocular Pressure Test) → 녹내장 여부 확인

✔️ OCT(광간섭단층촬영,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시신경 및 망막 손상 여부 평가

✔️ 망막 검사(Fundus Exam) → 망막 이상 확인

✔️ MRI/CT 촬영 → 뇌졸중, 뇌종양 의심 시 추가 검사

7. 자동 시야 검사 정기 검진 추천 대상

✅ 40세 이상 성인 → 녹내장 조기 진단을 위해 1~2년마다 검사

✅ 고위험군 (녹내장 가족력, 고안압증) → 매년 검사 필요

✅ 시야가 흐려지거나 한쪽이 잘 안 보일 때 즉시 검사 필요

✅ 뇌졸중, 뇌질환(뇌종양, 외상) 환자 → 시야 손실 여부 정기 검사 필요

8. 결론 – 자동 시야 검사는 녹내장 & 시신경 질환 조기 발견의 핵심 검사!

✔️ 시야 손상 조기 발견 & 녹내장 진행 모니터링 가능

✔️ 시신경 손상, 뇌졸중, 뇌종양 등 신경학적 질환 감별에 도움

✔️ 검사 후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정밀 검사(OCT, 안압검사 등) 필요할 수 있음

🔹 특히 녹내장은 초기 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자동 시야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야 검사 (Visual Field Test)란? 목적, 종류, 절차 및 결과 해석

시야 검사 (Visual Field Test)란? 목적, 종류, 절차 및 결과 해석1. 시야 검사란? (Visual Field Test)시야 검사(Visual Field Test)는 눈이 한 번에 볼 수 있는 범위를 측정하는 검사로, 시야 결손(Blind Spot) 여부를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