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44 신경외과 질환 - 뇌종양(brain tumor) 뇌조직이나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에서 발생한 종양과 머리뼈나 주변 구조물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뇌조직이나 뇌막으로 전이된 종양을 말합니다. 뇌종양은 양성과 악성으로 나뉘는데 양성 뇌종양은 성장속도가 느리고 주위 조직과의 경계도 뚜렷합니다. 양성 뇌종양은 수술 이외의 다른 치료 없이 완치되는 경우가 있으며 대부분 천천히 자라기 때문에 수술하지 않고 관찰하기도 합니다. 다만 뇌간이나 척수 종양은 수술로 제거할 수 없습니다. 악성 뇌종양은 성장속도가 빠르고 주위 조직으로 침투력이 강해 정상 뇌조직에 침윤되고 정상 뇌조직과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치유가 어렵습니다. 뇌종양의 원인은 유전학적이 요소가 관여한다는 연구가 있으나 가족력에 의한 발병은 드뭅니다. 뇌종양의 증상과 치료가장 흔한 증상은 두통이나 뇌종양의.. 2023. 4. 25. 신경외과 질환 - 뇌동맥류 뇌동맥 일부가 약해져 그 부분이 풍선이나 꽈리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을 말합니다. 주로 혈관이 큰 분지부에서 발생하고 혈관 벽이 매우 얇으며 정상혈관과는 달리 쉽게 파열됩니다. 뇌동맥류 파열로 지주막하 뇌출혈이 발생합니다. 뇌동맥류는 뇌 혈관의 벽이 약해져 부풀어 오르는 질병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상태에 대해 잘 모르고 지나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이 질병은 무시할 수 없는 심각한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혈관이 파열되어 뇌출혈을 일으키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뇌동맥류의 증상 뇌동맥류의 증상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작은 뇌동맥류는 종종 증상이 없어 무증상으로 지나갈 수 있지만, 크거나 파열된 동맥류는 갑작스러운 극심한 두통, 시야 변화, 구역, 구토, 목의 뻣뻣함 등.. 2023. 4. 24. 신경외과 질환 - 뇌하수체 신생물(Maligmant or benign neoplasm of pituitary gland)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와 연결되어 우리 몸의 호르몬 분비 및 조절에 관여하는 기관으로 선뇌하수체와 신경뇌하수체로 나뉘며 뇌하수체 주위에는 시신경, 시교차, 내경동맥, 해면정맥동, 측두엽이 위치하며 종양이 발생하면 이와 관련된 많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부분 양성 종양이고 악성종양은 드물고 뇌전이암 또는 말안장 부위의 뼈를 침범하는 악성종양의 경우 뇌하수체를 침범할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종양으로 인해 기능항진이 일어나면 유즙분비 호르몬 과잉증이나 거인증, 말단비대증이 올 수 있고 기능 저하가 일어나면 범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왜소증, 소인증, 요붕증, 항이뇨 호르몬 부적절 증후군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선종의 40%는 프로락틴분비선종이고 20-30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뇌하수체 종양은 시상.. 2023. 4. 23. 신경외과 질환 - 뇌경색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목뒤의 경동맥, 척추 기저동맥부터 뇌 안의 작은 동맥이 막혀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 하여 지속적으로 증상이 생깁니다. 동맥경화증에 의해 혈관에서 발생하는 혈전이 혈관을 막거나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는 것을 색전이라고 합니다. 혈전이 말단부터 뇌혈관을 막아 뇌손상을 유발하기도 하고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터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뇌경색의 증상과 치료 혈관이 막힌 위치에 따라 반신 불수, 언어장애, 시야 장애, 어지럼증, 의식 소실 등이 나타납니다. 진단 방법으로 CT, MRI 등의 검사를 통해 뇌신경 및 뇌혈관의 상태를 파악한 후 약물치료나 수술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치료로는 우선 .. 2023. 4. 22. 이전 1 ··· 447 448 449 450 451 452 453 ··· 46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