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시신경염(Optic Neuritis) – 원인, 증상, 치료 총정리

by operation room 2025. 2. 11.
반응형

시신경염(Optic Neuritis) – 원인, 증상, 치료 총정리

시신경염(Optic Neuritis) – 원인, 증상, 치료 총정리
시신경염(Optic Neuritis) – 원인, 증상, 치료 총정리

시신경염(Optic Neuritis)은 눈에서 뇌로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시신경(Optic Nerve)에 염증이 생겨 시력 저하와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이 깊으며,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신경염의 원인, 증상, 진단 방법, 치료법 및 예후를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시신경염(Optic Neuritis)란?

시신경염은 한쪽 또는 양쪽 눈의 시신경에 염증이 발생하여 시력 저하, 색각 이상, 눈을 움직일 때의 통증 등을 유발하는 신경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단독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다발성경화증(MS), 시신경척수염(NMO), 자가면역질환 등의 신경 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2. 시신경염의 원인

✅ 자가면역 질환 관련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 시신경염의 가장 흔한 원인

시신경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NMO) – 심한 시신경염과 척수염을 동반하는 질환

자가면역 질환 (루푸스, 사르코이드증 등)

✅ 감염성 원인

바이러스 감염 (헤르페스, 홍역, 수두, 독감 등)

세균 감염 (결핵, 매독, 라임병 등)

✅ 기타 원인

약물 부작용 – 특정 항생제, 항암제 등이 시신경염을 유발할 수 있음

독성 물질 노출 – 메탄올(공업용 알코올), 에틸렌글라이콜(부동액) 중독

비타민 B12 결핍

3. 시신경염의 주요 증상

1) 시력 저하

갑자기 또는 수일에 걸쳐 한쪽 눈의 시력이 감소

심한 경우 시력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저하될 수 있음

 

2) 눈을 움직일 때 통증

시신경에 염증이 생기면서 눈을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

통증은 보통 눈 뒤쪽 깊은 곳에서 느껴지며, 몇 초~수 분간 지속

 

3) 색각 이상 (Dyschromatopsia)

빨간색이 흐려 보이거나 색이 정상보다 탁하게 보임

특히 빨간색이 덜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 특징적

 

4) 시야 장애

시야의 중앙이 검게 보이거나(중심 암점, Central Scotoma) 흐려 보임

빛 번짐 현상(광과민증, Photophobia) 발생 가능

 

5) 한쪽 눈의 반응 저하 (상대적 동공운동장애, RAPD)

손전등으로 빛을 비췄을 때 빛에 대한 반응이 정상보다 느리거나 약해짐

4. 시신경염의 진단 방법

1) 안저 검사(Fundus Examination)

검안경으로 시신경유두(Optic Disc) 부종 및 염증 여부 확인

2) 시야 검사(Visual Field Test, VF Test)

중심 암점(시야의 중앙이 검게 보임) 등의 시야 이상 확인

3) 빛간섭단층촬영(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시신경 손상 정도와 망막 신경층의 두께 변화 확인

4) 시신경유발전위 검사(VEP, Visual Evoked Potential Test)

시신경이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속도 측정

신경 손상이 있으면 전달 속도가 느려짐

5) 뇌 MRI 검사

다발성경화증(MS) 의심 시 필수 검사

뇌의 백질(White Matter)에 MS와 관련된 병변이 있는지 확인

6) 혈액 검사 및 자가면역 질환 검사

항체 검사(NMO-IgG, AQP4 항체 등)를 통해 시신경척수염(NMO) 여부 확인

감염성 원인(바이러스, 세균 감염) 확인

5. 시신경염의 치료 방법

1) 스테로이드 치료 (Steroid Therapy)

고용량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IV Methylprednisolone)

일반적으로 3~5일간 주사 후 경구 스테로이드(프레드니솔론)로 전환 시력 회복을 빠르게 유도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

2) 혈장 교환술 (Plasmapheresis, PLEX)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시행

면역체계를 조절하여 자가면역 반응을 억제

3) 면역억제제 및 생물학적 제제

시신경척수염(NMO) 또는 다발성경화증(MS) 환자의 경우 리툭시맙(Rituximab),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등 사용

4) 감염성 시신경염의 경우

항생제/항바이러스제 치료 결핵(TB) 시신경염: 항결핵제 치료

매독(Syphilis) 관련 시신경염: 페니실린 치료

헤르페스 바이러스 관련 시신경염: 아시클로버(Acyclovir) 투여

6. 시신경염의 예후 및 시력 회복 가능성

대부분의 경우 수주~수개월 내에 자연적으로 시력이 회복됨

80% 이상의 환자가 치료 후 1년 내에 정상 시력으로 회복

하지만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시신경이 위축되어 영구적인 시력 저하 가능

다발성경화증(MS) 환자는 추가적인 시신경염 재발 가능성이 높음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시신경염이 있으면 반드시 다발성경화증(MS)인가요?

A. 아닙니다. 시신경염 환자의 50% 정도가 MS와 관련이 없으며, 단독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Q2. 시신경염은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 있나요?

A. 일부 환자는 치료 없이도 시력이 회복되지만, 치료를 하면 회복 속도가 빨라지고 재발 위험이 낮아집니다.

 

Q3. 시신경염이 한 번 오면 다시 재발할 수 있나요?

A. 일부 환자는 재발할 수 있으며, 특히 MS, NMO 환자는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Q4. 시신경염을 예방할 수 있나요?

A. 자가면역질환이 원인이라면 면역억제 치료를 병행하면 재발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8. 결론 – 시신경염,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

✔ 시신경염은 조기 치료하면 대부분 시력 회복 가능

✔ 다발성경화증(MS)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어 신경과 검진 필수

✔ 눈 통증, 시력 저하, 색각 이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 방문

🔹 시신경염 증상이 있다면 빠른 검사와 치료로 시력을 보호하세요!

 

 

 

시신경 검사 완벽 가이드 – 종류, 절차 및 필요한 경우 총정리

시신경 검사 완벽 가이드 – 종류, 절차 및 필요한 경우 총정리시신경(Optic Nerve)은 눈에서 뇌로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신경입니다.시신경 검사는 녹내장, 시신경염, 시신경위축, 두개내압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