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에 대해서

테르비나핀(Terbinafine) – 무좀·손발톱 진균증의 대표 치료제

by operation room 2025. 8. 12.
반응형

테르비나핀(Terbinafine) – 무좀·손발톱 진균증의 대표 치료제

테르비나핀(Terbinafine) – 무좀·손발톱 진균증의 대표 치료제
테르비나핀(Terbinafine) – 무좀·손발톱 진균증의 대표 치료제

무좀이나 손발톱 진균증 치료 시, 피부과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 중 하나가 테르비나핀입니다.

강력한 항진균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경구제와 외용제(연고·크림·스프레이) 형태로 모두 사용됩니다.

🔍 테르비나핀이란?

정의: 알릴아민(allylamine) 계열의 항진균제(antifungal agent)

형태: 경구제(정제), 외용제(크림·겔·스프레이)

작용 원리:

진균 세포막의 필수 성분인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합성을 억제

진균 세포막이 약해져 사멸 → 곰팡이 제거

활성 범위:

피부사상균(dermatophytes) → 무좀, 손·발톱 진균증

일부 효모균(Candida)·곰팡이류에도 효과

🩺 테르비나핀의 사용 질환

발 무좀(발 백선, Tinea Pedis)

손 무좀(수부 백선, Tinea Manuum)

사타구니 백선(Tinea Cruris)

체부 백선(Tinea Corporis)

손발톱 무좀(Onychomycosis)

일부 칸디다 피부 감염

💊 복용·사용 방법

1. 경구제

성인 기준: 1일 1회, 250mg

치료 기간:

발 무좀: 2~6주

손 무좀: 약 6주

발톱 무좀: 12주 이상

식사와 상관없이 복용 가능

 

2. 외용제

1일 1~2회, 감염 부위와 주변 피부까지 도포

사용 전 부위를 깨끗이 씻고 건조

치료 후에도 1~2주 추가 사용 → 재발 방지

⚠️ 부작용

경구제 부작용

위장 장애(속쓰림, 복통, 설사)

간 기능 수치 상승 → 드물게 간염

피부 발진·두드러기

미각·후각 이상(매우 드물지만 장기간 지속 가능)

 

외용제 부작용

도포 부위 홍반·가려움·따가움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

📌 주의사항

간 질환이 있는 경우, 복용 전 간 기능 검사 필요

복용 중 간염 증상(피로·황달·소변색 짙어짐) 발생 시 즉시 중단

임신·수유부는 의사 상담 후 사용

다른 약물(항부정맥제, 일부 항우울제, 베타차단제 등)과 상호작용 가능 → 복용 약물 반드시 고지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테르비나핀 복용하면 무좀은 완치되나요?

➡ 완치율이 높지만, 생활습관 관리와 재감염 예방이 병행되어야 재발이 적습니다.

Q. 경구제와 외용제 중 어떤 게 더 효과적인가요?

➡ 피부 무좀은 외용제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지만, 손·발톱 무좀이나 광범위 감염은 경구제가 필요합니다.

Q. 술을 마셔도 되나요?

➡ 경구제 복용 중에는 간 부담이 커지므로 음주를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 복용 중 미각이 변하는데 정상인가요?

➡ 드물게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복용을 중단하면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지속되면 반드시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 요약

성분:  알릴아민 계열 항진균제

적응증 : 무좀, 손·발톱 진균증, 백선

경구 복용:  1일 1회 250mg, 수주~수개월

외용 사용:  12회 도포, 24주 이상

주의사항 : 간 질환·임신·약물 상호작용 주의

🔚 결론

테르비나핀은 무좀·손발톱 진균증 치료에 효과가 뛰어난 표준 약물입니다.

하지만 곰팡이균은 환경에서 오래 생존하므로,

약물 치료와 함께 발 위생·신발 건조·가족 동시 치료를 병행해야 재발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경구제 사용 시에는 간 기능 관리를 꼭 챙기는 것이 안전합니다.

 

 

 

무좀 – 여름뿐만 아니라 1년 내내 주의해야 할 발 질환

무좀 – 여름뿐만 아니라 1년 내내 주의해야 할 발 질환 “발이 가렵고, 갈라지고, 냄새까지…”무좀은 단순한 피부 가려움이 아니라,피부 곰팡이(진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감염

namo38.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