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6

CT 기반 정량적 골밀도 검사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QCT) CT 기반 정량적 골밀도 검사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QCT)1. QCT(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란?CT 기반 정량적 골밀도 검사(QCT,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는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3차원으로 정밀하게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골다공증 진단과 골절 위험 평가에 활용✅ DXA(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보다 더 정밀한 골밀도 분석 가능✅ 척추 및 대퇴골의 해면골(trabecular bone)과 피질골(cortical bone)을 구별하여 측정✅ 방사선 노출량이 DXA보다 높지만, 정밀도가 뛰어나 특수한 경우 사용됨2. QCT 검사가 필요한 대상QCT 검사는 정확한 골밀.. 2025. 2. 2.
초음파 골밀도 검사 (Quantitative Ultrasound, QUS) 초음파 골밀도 검사 (Quantitative Ultrasound, QUS)초음파 골밀도 검사(QUS, Quantitative Ultrasound) 는 뼈의 밀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방사선 없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DXA 검사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지만,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보조적인 검사로 사용됩니다.1. 초음파 골밀도 검사(QUS)란?QUS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주로 발뒤꿈치(종골, Calcaneus), 정강이뼈(경골, Tibia), 손가락 뼈(중수골, Metacarpal) 등을 검사합니다.✅ X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사선 노출이 없음✅ 검사 시간이 짧고 간편함 (5~10분 내외)✅ 이동식 장비를 이용해 병원 외 장소에.. 2025. 1. 31.
DXA 검사 결과 해석: 골밀도 측정값 이해하기 DXA 검사 결과 해석: 골밀도 측정값 이해하기DXA 검사(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는 골밀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골다공증 진단 및 골절 위험 평가에 활용됩니다.검사 결과는 T-score(티스코어) 및 Z-score(지스코어) 두 가지 값으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골다공증 여부와 뼈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1. DXA 검사 결과의 주요 지표(1) T-score (티스코어) - 성인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 성인의 정상적인 최대 골밀도(Peak Bone Mass, PBM) 와 비교한 수치✅ 주로 폐경 후 여성과 50세 이상 남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을 평가할 때 사용✅ WHO(세계보건기구) 기준에 따라 골밀도 상태를 분류📌 T-sco.. 2025. 1. 31.
DXA 검사(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검사(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DXA 검사(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또는 DEXA)는 골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 방법입니다.두 가지 다른 에너지 수준의 X선을 사용하여 뼈의 미네랄 밀도를 측정하며, 골다공증 진단 및 골절 위험 평가에 필수적인 검사로 활용됩니다.1. DXA 검사의 원리DXA 검사는 두 가지 다른 강도의 X선을 사용하여 뼈와 연조직의 밀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뼈는 X선을 많이 흡수하므로 뼈의 미네랄 함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연조직(근육, 지방 등)은 X선을 덜 흡수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정확한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이 검사.. 2025. 1.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