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24

비뇨기과 질환 - 서혜부 탈장 서혜부 탈장(Inguinal hernia)이란고환은 태아의 뱃속에 있다가 태어나기 석 달 전쯤 음낭 속으로 이동하고 그 이후에는 이동한 길이 막히는데 이 길이 막히지 않으면 뱃속에 있는 소장이 음낭 쪽으로 빠져나와 서혜부 탈장이 일어납니다. 사타구니나 음낭 쪽으로 장이 튀어나오는 질환을 서혜부 탈장이라고 합니다. 아기 때는 배에 힘을 주고 울 때 발견되고 크기가 크지 않으면 초등학교 때 우연히 발견되기도 합니다. 남아에게 많이 발견되고 간단한 수술로 치료가능합니다. 서혜부 탈장의 증상과 치료서혜부 탈장은 아기가 울 때처럼 배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만지면 말랑하고 누르면 들어가지만 아기가 아파하지 않습니다. 진단은 병력, 증상, 진찰소견으로 하며 탈장 내용물이 복강 안에 있을 때는 서혜부 .. 2023. 4. 13.
비뇨기과 질환 - 만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이란 노폐물을 제거하는 신장의 기능이 감소하여 정상으로 회복될 수 없는 상태의 질환을 말합니다. 남아있는 신장의 기능도 점차 저하되어 결국에는 신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 신질환으로 진행합니다. 성인 만성신부전의 가장 큰 원인은 당뇨병으로 50% 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고혈압, 사구체신염, 다낭성 신장 등의 원인이 있습니다.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하기 위해 신기능 검사 즉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합니다. 사구체 여과율이 정상의 60% 이하인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합니다. 만성 신부전의 증상과 치료증상은 모든 장기에서 나타나며 적절한 치료를 안 하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경계 증상으로는 감각 및 운동 장애, 피로 증가, 졸음, 의식장애, 혼수 등이 있고 심혈관계 .. 2023. 4. 12.
비뇨기과 질환 - 포경(Phimosis) 포경이란귀두를 덮고 있는 피부 즉 포피가 젖혀질 수 없는 상태가 된 걸 의미합니다. 모든 남성은 신생아 때는 포경 상태로 포피와 귀두의 피부가 붙어있다가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포피와 귀두의 피부는 분리됩니다. 원래는 포피가 뒤로 잘 밀려나서 귀두가 쉽게 노출되지만 포경은 다른 피부의 흉터와 비슷한 섬유조직이 형성되어 노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 것을 말합니다. 강제로 포피를 귀두에서 분리하면 귀두 피부조직의 자연적인 탈락 현상을 방해하여 흉터성 꺼풀고리가 형성할 수 있어 좋지 않습니다. 포경을 유발하는 특별한 원인은 아직 밝혀진 건 없고 지속적인 포경상태는 위생상태의 불결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포경의 증상과 치료포피의 붓기, 발적, 통증 및 화농성 분비물이 발생하는 귀두 포피염이 발생합니다. 소변이 가늘.. 2023. 4. 11.
비뇨기과 질환 - 급성 방광염 급성 방광염이란소변이 보관되는 장기인 방광에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방광 내 세균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발생합니다. 80%이상 대장균에 의해 발병하고 장구균, 포도상구균, 간균 등이 원인이 되며 세균이 요도를 타고 방광까지 올라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성의 요도가 남성보다 짧고 장내 세균이 많은 항문과 세균이 잘 자랄수있는 질입구가 요도와 가까워 세균이 요도로 이동이 쉽기 때문에 더 많이 발생합니다. 전체 여성의 30%이상이 평생동안 한번씩은 걸리는 흔한 질환입니다. 방광염의 증상과 치료배뇨 중 타들어가는 작열감이나 통증이 느껴지고 갑작스러운 요의와 소변의 양은 적으나 요의를 자주 느낍니다. 하복부의 통증이 있고 혈액이 섞이거나 탁한 소변을 보거나 불쾌한 냄새가 나는 소변을 보게 됩니다. 임상증상.. 2023. 4. 10.
728x90
반응형